요약
본 연구는 경기미래교육의 핵심인 ‘자율’이 학교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실현되도록, 학교자율과제의 운영 실태와 교사들의 인식을 심층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둠. 2023년부터 시행된 학교자율과제의 정착 정도와 효과성을 확인하고, 종단적 비교를 통해 학교자율성이 실질적으로 구현되고 있는지를 분석하여 향후 정책 개선 방향과 지원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안하고자 함. 이를 위해 2023년과 2024년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학교자율과제의 정착 현황, 교사들의 인식 변화, 학교 운영 자율성의 확대 효과 등을 평가하고자 함.
이에 경기도 초·중·고등학교 구성원들의 인식, 운영 현황, 정책 효과 등을 다각도로 조사하여 자율과제의 변화와 효과를 분석함.
설문 대상은 경기도 초·중·고등학교 교원으로, 2023년과 2024년 동일한 설문조사를 실시함. 2023년에는 1,597명이 2024년에는 1,618명이 설문에 참여하였으며, 온라인 방식으로 이루어짐.
설문조사 문항은 학교자율과제에 대한 인식과 운영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총 4개의 영역으로 구성됨. 첫째, ‘일반 인식’ 영역에서는 정책 이해, 효과, 만족도를 평가함. 둘째, ‘진단 및 계획’ 영역에서는 학교 현안 진단과 계획 수립 과정에서의 참여 및 협의 여부를 확인함. 셋째, ‘실행’ 영역에서는 자율과제의 목표 및 실행 계획, 지원 체계, 학교 조직의 적합성 등을 분석함. 넷째, ‘평가’ 영역에서는 자율과제의 효과성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와 방법의 마련 여부를 평가함.
연구의 분석 방법으로 2023년과 2024년 데이터를 바탕으로 교원의 인식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기술통계와 차이검정을 실시하고, 학교급별 차이를 비교함. 이를 통해 학교자율과제의 정착 및 운영 실태의 변화를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책 개선 방향을 구체화하고자 함. 마지막으로, 개선 방안 도출을 위해 서술형 응답 데이터를 주제분석법으로 분석하여 주요 키워드를 추출하고, 전문가 검토를 통해 개선 방향을 정리함.
2023년과 2024년의 학교자율과제 인식과 운영 실태를 비교 분석한 결과, 교원들의 학교자율과제에 대한 인식과 실행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음. 2024년에는 전반적으로 교원들의 인식 수준이 향상되었으며, 진단 및 계획, 실행, 평가 각 단계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두드러짐. 특히, 정책의 목적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졌으며, 계획 수립과 예산 편성, 협의 등의 과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짐.
2023년과 2024년을 비교했을 때, 고등학교에서의 변화가 가장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정책 이해’와 ‘정책 효과 및 만족도’ 요인에서 고등학교의 인식 향상이 두드러짐. 또한, 진단 및 계획 영역에서 모든 학교급에서 평균 점수가 상승하였고, 실행 단계의 ‘학교 조직 및 문화’ 요인에서도 모든 학교급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임. 다만, ‘정책 효과 및 만족도’와 ‘학교 간 연계’ 요인은 여전히 낮은 순위를 유지하고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함.
목차
요약 _ ⅰ
Ⅰ. 서론 _ 01
Ⅱ. 이론적 배경 _ 03
III. 연구방법 _ 14
IV. 연구결과 _ 23
IV. 결론 및 제언 _ 51
참고문헌 _ 63
부록 _ 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