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교육연구원

전체메뉴

닫기

연구보고서

경기도교육연구원은 경기교육의 중장기 정책 수립 및 비전제시와 함께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활동지원과 교육 현안검토 및 보고정책 자문 등을 위한 “연구보고서”를 발간하고 있습니다.

미래형 학교도서관 역할 모델 연구: 해외 사례를 중심으로

현안보고 미래형 학교도서관 역할 모델 연구: 해외 사례를 중심으로

  • 보고서 번호

    현안 2017-24

  • 발간일자

    2017-12-20

  • 조회수

    270

  • 연구책임자

    김아미

  • 공동연구진

    이지선, 박소정

  • 연구주제

    미래교육

  • 키워드

    학교도서관, 미래형학습, 미디어정보리터러시

요약
서론

제 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학교도서관'의 개념과 역할 확장
⁃ 도서관 및 독서진흥법(1994. 3. 24 법률 제 4746호) 제 2조 6항은 학교도서관을 '고등학교 이하의 각급 학교에서 교원과 학생의 교수·학습 활동을 지원함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도서관 또는 도서실'로 규정하고 있음. 이에 따른 학교도서관의 주요 업무로 1) 학교 교육에 필요한 자료의 수집·정리·분석·보존·축적 및 그 이용, 2) 독서지도 및 도서관 이용지도, 3) 시청각자료의 개발, 제작 및 이용 등이 제시됨
⁃ 정보지식기반 사회로 넘어오면서 교육의 목적과 교수학습 기반의 변화에 따라 학교도서관의 개념과 역할 역시 변화하였음. 현재 학교도서관은 '교과 과정 속에서 학습, 교수매체의 저장과 활용 및 창조에 중핵적 역할을 수행하는 기관'으로 그 개념이 확장되고 있음(윤세라, 2008)
⁃ 국제도서관협회연맹(IFLA, International Federation Library Association)과 유네스코가 함께 발표한 학교도서관 선언문(School library manifesto)에서는 학교도서관을 '정보지식기반 사회에서 성공적으로 활동하기 위하여 기본이 되는 정보와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학생이 평생학습 능력과 상상력을 키워 책임감 있는 시민으로 살 수 있도록 지원하는 곳'으로 규정하는 등(IFLA, 2015), 학습자의 성장의 기반이 되는 지원 공간으로서 학교도서관의 개념이 확립되고 있음
⁃ 교육과정의 허브이자 학습을 촉진하는 중심 센터로서의 학교도서관은 현재 교육과정 및 수업 변화와도 일맥상통함. 2015개정 교육과정의 총론에서는 학습자가 함양해야할 6가지 역량 중 정보처리 역량을 제시하고 있고, 2015개정 교육과정 중 국어교과에 '한 학기 한권 읽기'가 정식으로 포함되어있음. 이러한 2015개정 교육과정의 요소가 성공적으로 구현되기 위해서는 학교도서관과 수업의 연계, 학교도서관을 통한 다양한 지원이 필수적임
⁃ 또한 중학교에 도입된 자유학년제를 필두로 수업 문화 변화 추구를 목적으로 하는 교육 실천들은 프로젝트 기반 수업, 토론식 수업, 문제해결 능력을 키우기 위한 수업 등의 교수학습 방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는데, 이의 실현을 위해서는 학교도서관에서 제공하는 정보, 자료, 공간 등이 필수적임
⁃ 유네스코에서는 21세기 학습자가 갖추어야 할 핵심 역량으로 미디어 정보 리터러시(Media Information Literacy)를 제안하면서, 그 중 중요한 하위 요소로 도서관 리터러시(library literacy)를 상정하였음(UNESCO, 2013). 이는 학습자가 정보지능사회에서 올바른 정보를 판별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학교도서관의 지원역할이 중요함을 보여주는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