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교육연구원

전체메뉴

닫기

연구보고서

경기도교육연구원은 경기교육의 중장기 정책 수립 및 비전제시와 함께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활동지원과 교육 현안검토 및 보고정책 자문 등을 위한 “연구보고서”를 발간하고 있습니다.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통한 디지털 시민교육 강화 방안

정책연구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통한 디지털 시민교육 강화 방안

  • 보고서 번호

    정책 2020-10

  • 발간일자

    2020-12-30

  • 조회수

    569

  • 연구책임자

    이미영

  • 공동연구진

    김양은, 송여주, 양철진, 임재일

  • 연구주제

    기타

  • 키워드

    미디어 리터러시, 디지털 시민교육, 코로나19 이후 디지털 시민교육, 미디어리터러시 학습환경 구축

요약
본 연구는 일부 교사만 마주했던 학생들의 인터넷 중독과 사이버 폭력 등을 모든 교사가 경험하게 되면서 초·중·고등학생들이 디지털 공간에서도 건강한 시민의식을 지니도록 교육해야 한다는 새로운 과제가 제기되는 시점에서 연구되었다. 따라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통한 디지털 시민교육 강화방안을 모색하기 위해서 교사들의 인식을 살펴보고 강화방안을 도출하는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의 흐름과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장의 서론에서는 미디어가 차지하는 부분이 확대되고 미디어에서 인권 등에 대한 논쟁이 늘어나면서 미디어 리터러시(Media literacy)에 대한 교육적 요청이 증대되고 있고 코로나19로 인한 팬데믹 사태로 인한 교육환경의 변화 또한 시민교육과 미디어 리터러시의 결합을 촉진하고 있음을 밝혔다. 이와 함께 본 연구에서 진행할 내용들의 연구방법을 함께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디지털 시민교육에 대한 논의로 디지털 사회와 코로나19 이후 사회변화, 디지털 시민교육과 미디어 리터러시의 관계, 디지털 시민교육의 국내외 동향 등 세 가지 내용들을 탐색하였다. 디지털 사회와 코로나19 이후 사회변화에서 살펴본 디지털 사회의 특성은 비대면성으로 인한 공간변화, 개인의 임파워먼트(Empowerment)의 증진, 다양하고 새로운 공동체의 형성, 정보 공유의 평등성과 민주성, 매체에 따른 의사소통의 방식의 변화, 탈진실(Post-truth) 현상, 디지털 융합(Digital Convergence)에 따른 정보의 확장성으로 보았다. 디지털 사회의 시민교육과 미디어 리터러시의 관계에서는 시민과 시민성의 개념을 살펴보고 디지털 시민성과 그와 함께 언급되는 디지털 시민의 역량에 대해 살펴보았다. 1절에서 언급된 디지털 사회의 특성들이 민주시민적 생활태도 및 삶의 자세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고 보았다. 즉, 미디어 리터러시 개념 안에 생산의 개념이 포함되고 소통, 협업, 네트워킹, 공유 등의 개념과 함께 그 의미가 확장되고 있다는 것을 밝혔다. 또한, 디지털 시민교육의 국내외 동향을 통해 시사점들을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코로나19 이후 중앙부처 및 지방자치단체의 디지털 시민교육 정책과 디지털 시민교육과 관련된 해외 시민교육 사례를 살펴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