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학교복합타운에 대한 논의는 “마을 속에서 상생하는 학교복합타운을 조성한다면 쇠퇴하는 지역의 새로운 활력이 되어 인구 유입과 더불어 마을과 상생하는 교육 공간”을 조성할 수 있을 것이라는 논의로부터 시작되었다. 본 연구는 학교복합타운의 역할과 像을 설정하는 데 있어, 선행연구 및 국내외 유사사례를 살펴보고 지역 조사를 기반으로 교육 전문가, 건축 전문가, 학부모, 학교 구성원들과의 면담을 통해 학교복합타운의 모델을 도출하였다.
선행연구의 주요 내용으로
첫째, 인구감소와 관련하여 학교시설의 활용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시작되었고, 둘째, 지역의 중심 생활공간으로서 지역 차원의 계획적 접근이 전제되며, 셋째, 학교를 지역 생활공간으로 활용하는 데 있어서 수요자 중심의 조성 체계로의 변화가 필요하다. 넷째, 지역재생사업에 있어 학교는 인구 유입을 위한 정책적 대안의 적극적 기제로 작동할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이러한 학교복합타운을 실현화하기 위해서는 교육청, 지자체 등 관련 부서의 유기적 협력과 통합적 사고 및 기획이 필요함을 도출하였다.
학교복합타운의 국내외 유사사례를 탐색한 결과,
국내에서는 학교 용지가 다른 용도의 건축물과 결합한 사례를 찾기 어려웠다. 유사한 사례로 현재 공공청사를 중심으로 청년주택을 공급하는 사례가 있었으나, 제도적 한계 등으로 인해 학교와 주거시설이 결합하여 운영되는 사례는 찾을 수 없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공공기능과 결합된 주거 공간의 경우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일상생활과 밀접(입지, 기능 등)한 장소가 주로 선정되고 주민복지 실현이나 지역 내 필요 시설 확충 등을 목적으로 하며, 복합화된 기능을 통해 커뮤니티 내 거점시설로서의 역할을 담당하는 경향을 보인다. 공간적 차원에서는 지역개발 및 균형 발전을 목적으로 지역 내 다양한 세대를 위한 서비스 공간으로 기능하였다.
목차
요약_ⅰ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8
제3절 연구의 한계점 14
제2장 이론적 배경
제1절 경기도 교육환경의 변화 19
제2절 학교시설 복합화와 학교복합타운의 이해 35
제3절 선행연구 분석 40
제4절 소결 51
제3장 학교복합타운 유사사례 조사
제1절 사례 분석 기준 설정 55
제2절 국내 사례 57
제3절 국외 사례 68
제4절 소결 83
제4장 지역 사례 조사
제1절 지역 사례 조사 101
제2절 면담조사 결과 135
제3절 설문조사 결과 150
제4절 소결 181
제5장 경기도형 학교복합타운 실현화 방안
제1절 경기도형 학교복합타운 모델 제안 185
제2절 법과 제도 검토 201
제3절 사업추진 업무절차 탐색 226
제4절 소결 250
제6장 연구의 요약 및 함의
제1절 연구의 요약 255
제2절 학교복합타운의 함의 265
참고문헌_267
부록_2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