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교육연구원

전체메뉴

닫기

연구보고서

경기도교육연구원은 경기교육의 중장기 정책 수립 및 비전제시와 함께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활동지원과 교육 현안검토 및 보고정책 자문 등을 위한 “연구보고서”를 발간하고 있습니다.

교육지원청의 담임장학 현황 및 과제

현안보고 교육지원청의 담임장학 현황 및 과제

  • 보고서 번호

    현안 2022-05

  • 발간일자

    2022-09-13

  • 조회수

    460

  • 연구책임자

    김현미

  • 공동연구진

    박수정, 김유정, 권은재

  • 연구주제

    교육행정·제도

  • 키워드

    담임장학, 교육지원청, 장학사, 자율장학, 학교 안 전문적학습공동체

요약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학교는 안전한 배움의 공간이며 학생과 교직원의 자율적 성장이 있는 곳이어야 함. 학교의 구성원이 민주적으로 학교를 운영하는 자율적이고 유기적인 상태의 조직을 만듦으로써 학교 조직 본연의 목적과 기능이 더욱 역동적이고 협력적으로 수행될 수 있음(경기도교육청, 2018).
- 경기도교육청은 학교가 자율적으로 역량을 구축하도록 지원하기 위해 '담임장학'정책을 추진하고 있음. 이는 행정기관 중심 '역할'로서의 장학에서 '과정'으로서의 장학 관점의 변화, 학교 자치 구현을 위한 학교 자율화의 요구 등을 반영한 것임.
- 최근, 담임장학 운영이 학교 자율 역량 강화라는 본래의 취지에 맞지 않는 형식적, 연례적 행사로 진행된다는 우려와 반성의 목소리가 있음.
- 이에 본 연구는 담임장학 운영 현황 및 실태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과제를 제안하고자 하였음.
2. 장학의 발달과 담임장학
- 장학의 목적은 과거에는 학교에 대한 지도·감독에 초점을 두고 관 주도적으로 이루어졌음. 최근에는 수업 개선, 교사 전문성 신장, 학교교육 개선 등에 초점을 두고 단위 학교의 교내 자율장학과 교육지원청의 지원 활동을 기반으로 장학의 개념이 확장되고 있음.
- 우리나라 장학 정책의 변화 과정을 살펴보면, 중앙 정부에 의해 장학 정책이 추진되는 국가 방침으로서의 장학 정책(1945~1990) 시기, 시·도교육청 주도 장학 정책의 시기(1991~2013)를 지나 현재는 학교가 중심이 되어 자율장학 정책이 추진되고 있음. 장학의 방향이 기관 주도의 지도·감독적 장학에서 학교의 자율성, 협력성, 다양성을 토대로 함께 하는 장학, 학교의 책무성이 강조되는 방향으로 변화되고 있음.
- 경기도교육청은 <2016 자율장학 추진 계획>에 따르면 학교는 전문적학습공동체를 기반으로 한 장학을, 교육지원청은 학교의 자율장학을 지원하는 담임장학을 하도록 명시하였음. 이후 학교별 담임장학사를 지정하여 지속적인 관계 속에서 학교의 자율적 변화를 지원하거나 촉진하는 담임장학 활동을 추진해 오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