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교육연구원

전체메뉴

닫기

연구보고서

경기도교육연구원은 경기교육의 중장기 정책 수립 및 비전제시와 함께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활동지원과 교육 현안검토 및 보고정책 자문 등을 위한 “연구보고서”를 발간하고 있습니다.

체육수업에서 심박밴드를 활용한 페이스메이커의 즉각적 피드백이 학습자의 중·고강도 신체활동에 미치는 영향

기술보고 체육수업에서 심박밴드를 활용한 페이스메이커의 즉각적 피드백이 학습자의 중·고강도 신체활동에 미치는 영향

  • 보고서 번호

    기술 2024-11

  • 발간일자

    2024-12-31

  • 조회수

    207

  • 연구책임자

    이은주

  • 공동연구진

    서광석, 박인희, 이수형, 김지혜, 김종석

  • 연구주제

    기타

  • 키워드

    심박밴드, MVPA, 체육교과, 피드백

요약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가. 연구의 필요성
학교 교육에서 학생의 ‘성장’(growth)은 중요한 과제임. 따라서 학교 교육의 하나의 교과목으로서의 체육에서도 스포츠 활동을 통해 개인이 성장하는 것은 중요한 과제로 여겨짐(김석기, 2018). 그렇다면, 학교체육을 통한 성장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가 남게 됨. 원래 ‘성장’이라는 개념은 신체적 변화와 관련된 발육 및 발달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음. 따라서 성장이라는 개념은 주로 발육과 발달을 다루는 연구에서 등장하곤 함.
실용주의 교육철학자인 듀이(Dewey)가 말하는 ‘성장’은 단순히 고정된 결과를 의미하지 않음. 대신 이는 이전에 일어난 일을 완성하거나 마무리하는 과정으로서, 언제나 일시적으로 변화 가능한 성격을 지니고 있음(김석기, 2018). 손재현과 성재형(2009)은 어떤 경험이 발생하려면 반드시 그 경험의 대상과 이를 경험하는 주체가 존재해야 함. 따라서 무언인가를 경험했다고 할 때, 경험의 진정한 의미는 대상과 주체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지며, 이는 반드시 주체의 의식이 전개될 때 비로소 의미를 가지게 됨. 그러므로 경험은 인간과 대상이 되는 자연적이고 사회적인 환경과의 상호작용의 산물로 이 경험에 의하여 인간은 사물을 지각하고 판단함(김효숙, 1997). 이러한 경험을 통해 인간이 지각하고 판단하는 본질에 교육이 관여하게 됨. 따라서 학교체육은 학교 교육의 일환으로, 학생들이 직접 경험을 형성하는 장소인 동시에 스포츠 활동을 매개로 신체 운동을 통해 학습이 이루어지는 공간임. 이를 통해 학생들은 신체 활동을 매개로 타인과의 관계 및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경험할 수 있어야 함.
이러한 체육 교과의 역할과 청소년 건강의 중요성에 대해서 미국의 청소년 건강 증진을 목표로 하는 Healthy People 2010 프로젝트는 학교 체육 수업의 질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중·고강도 신체활동(MVPA, Moderate-to-Vigorous Physical Activity)의 중요성을 강조함. 이 프로젝트는 학생들이 체육 수업 시간 동안 더 많은 신체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권장하며, 구체적인 가이드 라인을 제시함.
미국의 청소년 건강 Healthy People 2010 프로젝트에서는 체육 수업 중 실제 중·고강도 신체활동(MVPA)의 가이드에 따르면, 첫 번째, 체육 수업 시간 중 최소 50% 이상을 중·고강도 신체활동에 할애하도록 권장함. 이는 학생들이 건강을 유지하고 심혈관 및 근골격계 건강을 증진하기 위해 필요한 활동량을 확보하는 데 초점을 맞췄음. 둘째, 단순히 체육 수업을 참석하는 것을 넘어, 활동적인 참여를 강조함. 이를 통해 청소년들이 체육 시간 동안 적극적으로 움직이며 건강 혜택을 얻도록 유도함. 셋째, 체육 수업 내 MVPA 확대는 비만율 감소 및 당뇨, 심혈관질환 등의 만성질환 예방을 위한 중요한 수단으로 간주됨. 넷째, 모든 학생들이 체육 활동에 동등하게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도 목표 중 하나임. 성별, 체력 수준, 신체 능력 등에 상관없이 모두가 MVPA에 참여할 기회를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고 명시함. 다섯째, 체육 교사들에게 MVPA를 체계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적합한 교수법과 자료를 제공하며, 이를 통해 교육 현장에서 보다 효과적인 실행이 가능하도록 지원함.
하지만 국내·외의 체육 수업의 경우, 체육수업에서 중·고강도 신체활동(MVPA)의 참여율은 전반적으로 낮은 수준임. 특히 청소년들의 신체활동 부족이 심각한 문제로 지적되고 있음(CPPSE,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