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교육연구원

전체메뉴

닫기

연구보고서

경기도교육연구원은 경기교육의 중장기 정책 수립 및 비전제시와 함께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활동지원과 교육 현안검토 및 보고정책 자문 등을 위한 “연구보고서”를 발간하고 있습니다.

교사전문성의 대안적 접근으로 교사행위자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현안보고 교사전문성의 대안적 접근으로 교사행위자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보고서 번호

    현안 2020-16

  • 발간일자

    2020-12-29

  • 조회수

    276

  • 연구책임자

    남미자

  • 공동연구진

    박은주, 이성회, 조민지

  • 연구주제

    기타

  • 키워드

    교사전문성, 행위자성, 교사행위자성, 실천지, 관계적 성찰

요약
이 연구는 기존의 교사전문성 담론이 가진 기능주의적이고 신자유주의적인 논점에 대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교사전문성에 대한 대안적 접근을 시도하였음.
특히 교사전문성을 개별 교사에 의해 획득되어야 하는 지식과 기술이 아니라 다양한 맥락과 조건 속에서 이루어지는 관계적 성찰과 실천 과정에서 드러나는 “상황적 성취”로 이해하고자 하였음. 이는 교사전문성을 교사행위자성 개념으로 접근함으로써 교사의 전문성을 개별 교사에게 책임지우는 방식을 지양하고자 하는 노력임.
Priestley, Biesta, & Robinson(2015)가 제시한 교사행위자성 개념은 통시적 관점으로 교사전문성을 이해할 수 있으며, 다양한 맥락과 상황 속에서의 상호작용을 강조함으로써 문화와 구조의 분석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교사전문성의 새로운 담론을 견인하는 중요한 개념임. 그러나 관계적 시선의 결여, 윤리적이고 성찰적 측면의 도외시, 행위자성 발현 메커니즘에 대한 설명력 부족, 목적과 지향의 부재 등의 한계가 있음.
이에 기존의 교사행위자성 개념의 대안으로서 사회적 관계를 강조하고 그 과정에서의 성찰과 실천을 상호작용의 중요한 요소로 포함하여 교사행위자성의 대안개념을 제시하였음. 또한 형태발생론적 접근을 통하여 상호작용에 대한 분석적 접근을 시도하고자 하였음. 즉 교사행위자성 개념을 토대로 교사전문성을 이해함으로써 교사전문성 발현 또는 비발현의 과정에서 사회구조와 제도, 문화 등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했음.
교사전문성을 교사행위자성의 발현으로 보는 접근은 궁극적으로 교사전문성의 지향은 무엇이며, 구체적으로 어떻게 정의되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설명할 수 없음. 이에 교사전문성의 궁극적 지향을 학생(학습자) 주도성의 발현으로 삼고, 교사전문성의 구체적 내용을 교사의 총체적인 경험 속에서 이루어지는 실천적 지식으로 정의하였음. 그와 같은 실천지는 교사전문성에서 중요한 요소로서 교사가 우리라는 관계적 현실을 구성하고 그 속에서 이루어지는 관계적 성찰과 실천에 의해 확장해가는 것으로 설명함.
결과적으로 이 연구에서 재안하는 교사전문성은 개별 교사가 자기계발의 과정으로서가 아니라 학생의 배움에 대한 책임성을 관계들 속의 윤리적 주체로서 자신을 형성하고 생산해가는 과정으로 해석하고자 하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