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교육연구원

전체메뉴

닫기

연구보고서

경기도교육연구원은 경기교육의 중장기 정책 수립 및 비전제시와 함께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활동지원과 교육 현안검토 및 보고정책 자문 등을 위한 “연구보고서”를 발간하고 있습니다.

고등학교 정치·선거 교육의 실태

이슈페이퍼 고등학교 정치·선거 교육의 실태

  • 보고서 번호

    이슈 2022-04

  • 발간일자

    2022-09-30

  • 조회수

    92

  • 연구책임자

    이지영

  • 공동연구진

    김아미, 이윤주

  • 연구주제

    기타

  • 키워드

    정치교육, 선거교육, 정치선거 교육, 고등학생 유권자, 청소년 유권자

요약
본 연구는 선거법 개정으로 인한 선거 연령 하향 이후, 고등학생들은 학교의 정치·선거 교육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지 고찰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함. 이를 위해 고등학교 전학년 대상의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분석함. 설문 분석 결과는 고등학생들의 정치·선거 관심, 정치·선거 교육 경험, 18세 유권자들의 선거 참여 현황, 정치·선거 교육의 필요성 인식으로 나누어 제시함.
고등학생들의 정치·선거 관심을 살펴보기 위해 평소 정치·선거 관심, 정치 문제와 이슈 대화 상대, 정치 관련 법·제도 인지 정도 등을 살펴봄. 특기할 만한 점은 학생들은 정치 관심도가 높은 편이며, 대통령 선거에 대한 관심이 높고, 정치 문제와 이슈 대화 상대로 부모, 친구와의 대화 빈도가 높은 반면, 교사와는 정치문제나 이슈 관련하여 대화를 '전혀 하지 않는다'의 비율이 높게 나타난다는 점임.
고등학생들의 정치·선거 교육 경험에 대해 살펴보기 위해 정치·선거 교육 경험과 활동, 정치·선거 관련 과목 내용과 수업 방식 등에 대해 살펴봄. 특기할 만한 점은 수업시간에 정치 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다고 응답한 학생이 34%, 선거 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다고 응답한 학생이 45.7%로 높다는 점임. 또한 정치적 문제나 쟁점 수업을 경험하지 않았다고 응답한 학생이 79.7%였으며, 그 이유로 교사의 정치적 중립성(8.4%)때문을 가장 높게 인식함.
고등학생들은 학교에서 정치·선거 내용, 학생들과 정치문제나 쟁점에 대한 토론, 학교 교사와 정치문제나 쟁점에 대한 토론 필요성을 높게 인식함. 또한 정치 참여 활성화를 위해 선거학습, 선거 관련 외부 강의 등의 지식 학습 뿐만 아니라 정치적 쟁점 토론, 학교자치활동 등의 정치·선거 관련 활동 수업이 필요함을 높게 인식함.
본 연구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에서의 정치·선거 교육과 학생들이 체감하는 교육 내용의 간극을 짚어볼 필요성, 학생들은 정치·선거에 대한 지식 학습뿐만 아니라 정치·선거 활동을 체득할 수 있는 토론 등의 학습활동이 필요하고, 교육을 받을 권리가 있으며, 학생들과 정치적 문제나 쟁점 토론 진행 및 '교사의 정치적 중립' 논쟁으로부터 교사를 보호하기 위한 교사 연수의 필요성, 일상적 정치·선거 교육의 중요성을 제안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