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교육연구원

전체메뉴

닫기

연구보고서

경기도교육연구원은 경기교육의 중장기 정책 수립 및 비전제시와 함께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활동지원과 교육 현안검토 및 보고정책 자문 등을 위한 “연구보고서”를 발간하고 있습니다.

경기 미래교육지표 체계 개발 연구

기본연구 경기 미래교육지표 체계 개발 연구

  • 보고서 번호

    기본 2023-04

  • 발간일자

    2023-12-19

  • 조회수

    182

  • 연구책임자

    김위정

  • 공동연구진

    김자영, 백병부, 조민지, 심재휘

  • 연구주제

    미래교육

  • 키워드

    미래교육, 정책지표, 데이터기반 교육정책

요약
본 연구는 경기도교육청이 지향하는 미래교육의 정책목표 달성 모니터링을 위하여 미래교육지표 체계를 개발하고 지표 산출을 위한 데이터 구축 및 관리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 국제와 국가(한국) 수준의 미래교육담론과 정책을 검토하고, 경기도교육청 정책 문건을 분석하여 경기미래교육의 비전과 정책목표에 대한 시사점을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경기도지역 학부모와 교원 면담을 통해 교육주체들이 인식하는 미래사회의 전망과 미래교육의 방향, 경기 미래교육의 구체적인 상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경기도교육청 주요정책 추진 담당자들로 구성된 경기 미래교육지표 워킹그룹을 운영하여, 지표체계의 비전과 정책목표, 정책목표별 하위목표와 세부지표에 대한 협의를 진행하고, 지표체계 초안을 개발하였다. 지표체계 초안에 대해서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해 지표 타당화 작업을 거쳤으며, 최종적으로 델파이 조사 결과에 대해서 워킹그룹과 협의, 다른 부서의 의견 조회 등을 거쳐 최종안을 확정하였다.
연구절차는 다음 그림과 같다.
주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경기미래교육 정책 분석 결과, 큰 흐름에서 국제, 국가 수준의 미래교육담론과 유사성이 많이 발견되었다. 경제적 불확실성과 기후위기, 사회적 갈등 확대 등 비관적 미래 전망과 디지털 전환이라는 흐름에 대응하여 미래사회 교육방향을 정리하고 있으며, 공통적으로 공동체성, 공존의 가치, 행위주체성 등이 새롭게 강조되고 있다. 한편 경기도교육청이 구체적인 정책 과제들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기존의 미래교육 담론 내용 가운데 일부는 강조되고 상세화된 반면 어떤 내용들은 주변화되기도 했는데, 경기미래교육이 초점화한 미래교육의 추진 방향은 ‘학생 맞춤형 교육’, ‘에듀테크 활용’, ‘지역교육협력’, ‘학교 자율성’ 등의 키워드들로 구체화되었다.
교육주체 면담 결과, 교육의 목적으로 교원과 학부모 공통적으로 모든 학생들의 개별화된 성장 지원과 올바른 시민 육성을 강조하였다. 지향하는 미래교육의 모습으로는 에듀테크에 기반한 학생 맞춤형 교육, 조력자나 촉진자로서 교사, 역량중심 교육과정 및 수업과 평가, 다양하고 유연한 공간 등이 언급되었다. 에듀테크와 AI 교육, IB 프로그램 등이 경기미래교육의 대표적인 정책으로 인식되었으며, 기대와 함께 불만과 우려도 많이 나타났다.